김 선생의 금융교실 이번 포스팅에는 2025년 4월 이후 국제금융·외환시장 동향(한국은행)에 관하여 알아보는 포스팅을 작성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미국-중국 무역협상부터 원/달러 환율, 외국인 자금 흐름까지 안녕하세요. 오늘은 한국은행에서 발표한 <2025년 4월 이후 국제금융·외환시장 동향> 보도자료를 바탕으로, 최근 글로벌 금융 환경과 외환시장 흐름을 자세히 정리해드리겠습니다.
국제 정세와 금융시장은 우리의 투자 전략, 수출입, 환율에 직·간접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꼭 알고 계셔야 할 내용들입니다.
1. 글로벌 금융시장, "무역협상 진전"에 투자심리 회복:
1-1) 2025년 4월, 미국과 중국 간 무역협상에 긍정적인 진전이 있었습니다.
미국은 중국과 상호관세를 90일간 유예하기로 했고,
중국은 자국의 대미 관세율을 125% → 10%로, 미국도 대중 관세율을 145% → 30%로 인하하기로 합의했습니다.
이로 인해 글로벌 시장에서는 투자심리가 전반적으로 개선되었습니다.
특히 기술주 중심의 미국 증시와 외국인 자금이 대거 유입된 일본 증시, EU의 무역 갈등 완화 기대감으로 상승한 유럽 증시 등 주요국 주가가 크게 올랐습니다.
1-2) 주요국 주가 상승률 (3월 → 5월 중순)
미국 S&P500: +5.0%
일본 닛케이225: +7.0%
독일 DAX: +6.2%
한국 KOSPI: +6.4%
멕시코 BOLSA: +9.8%
2. 국채금리 변화 – 선진국은 상승, 신흥국은 혼조
2-1) 미국·영국 국채금리 상승:
미국은 연준이 금리를 동결했지만, 무역협상 진전으로 채권 수요가 줄면서 금리가 상승했습니다.
영국은 철강·알루미늄 관세 완화, 자동차 관세 인하 등의 포괄적 무역협정 체결 영향으로 금리가 소폭 상승.
2-2) 신흥국은 대부분 하락:
중국: 정책금리, 지급준비율, 재대출금리 모두 인하 → 금리 하락 브라질: 성장 둔화 우려로 금리 인상 중단 가능성 대두 → 금리 하락 반면, 튀르키예는 정치·경제 불안으로 정책금리를 350bp 인상하며 금리가 급등했습니다.
3. 환율시장 – "달러 약세, 원화 강세"
3-1) 달러화(DXY 지수): 104.2 → 99.5 → 101.0
유럽·일본 통화가 강세를 보이며 달러는 상대적으로 약세를 보였습니다.
유로화는 견조한 경제 성장으로 강세
엔화는 안전자산 선호 및 환율 협상 기대감에 강세
3-2) 원/달러 환율 하락:
4월 초에는 무역갈등으로 1,484.1원까지 상승했지만, 관세 유예 발표 이후 1,420.2원까지 하락하며 원화 강세 전환
3-3) 주요 신흥국 통화:
멕시코 페소: 무역 리스크 해소로 +5.6% 절상
러시아 루블: 제조업 회복 기대감으로 강세
튀르키예 리라: 정치 불확실성으로 약세
4. 국내 외환시장 동향:
4-1) 환율 변동성 커짐:
원/달러 전일 변동률 평균: 0.29% → 0.67%로 확대 무역정세 불확실성과 금리 차 확대가 주요 원인
4-2) 스왑레이트 및 통화스왑금리 하락:
3개월 스왑레이트: -1.97% → -2.47% (외화자금 수요 증가)
3년 통화스왑금리: 2.18% → 1.83% (국채금리 하락 영향)
5. 외국인 증권자금 – 순유출로 전환
4월에는 외국인의 자금 흐름이 다시 순유출로 전환되었습니다.
주식자금: 미 관세 부과 발표로 투자심리 급락 → -93.3억 달러 유출
채권자금: 차익거래 유인 증가, 중장기 수요 지속 → +76.3억 달러 유입
총합: -17.0억 달러 순유출
이는 2020년 3월 코로나 충격 이후 가장 큰 주식자금 유출 규모입니다.
6. 대외 외화차입여건은 "안정적"
단기 가산금리: 전월 15bp → 21bp (소폭 상승했지만 여전히 장기평균보다 낮음)
CDS 프리미엄: 33bp → 37bp (글로벌 리스크 확대로 소폭 상승)
전반적으로 해외 외화 차입 여건은 여전히 안정적인 수준으로 평가됩니다.
지금은 글로벌 정세를 읽는 통찰이 필요한 때 2025년 4월 이후 국제 금융·외환시장은 무역협상, 정책금리, 투자심리 변화 등에 따라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습니다.
미·중 관계와 관세정책, 유럽과 일본의 통화정책, 외국인 투자 흐름 등은 환율과 자산시장에 직결되므로 주의 깊게 지켜보셔야 합니다.
환율에 민감한 수출입 기업, 해외 투자자, 자산운용에 관심 있는 개인 투자자라면 반드시 참고해야 할 시기입니다.
이렇게 2025년 4월 이후 국제금융·외환시장 동향(한국은행)에 관하여 알아봤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금융지식 & 금융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4월말 외환보유액(한국은행) (0) | 2025.05.12 |
---|---|
JPMorgan Equity Premium Income ETF (JEPI) 5월 최신 동향정리 (1) | 2025.05.09 |
Schwab U.S. Dividend Equity ETF™ (SCHD) 5월 최신 동향정리 (0) | 2025.05.08 |
리얼티 인컴(Realty Income Corporation)5월 최신 동향정리 (0) | 2025.05.07 |
2024 전국민 금융이해력 조사 결과 발표: 한국은행 (2) | 2025.04.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