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지식 & 금융뉴스

35조원 규모의 슈퍼 추가경정예산안: 의미와 영향 분석

by 김선생의 금융교실 2025. 2. 14.
반응형

김 선생의 금융교실 이번 포스팅에는 35조원 규모의 슈퍼 추가경정예산안: 의미와 영향 분석에 관하여 알아보는 포스팅을작성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최근 더불어민주당이 35조원 규모의 '슈퍼 추가경정예산안(추경안)'을 발표하면서 정치권과 경제계에서 큰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 이번 추경안은 민생 회복과 경제 성장이라는 두 가지 목표를 중심으로 구성되었으며, 특히 소비 진작을 위한 지원책이 대거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추경안의 주요 내용, 장단점, 그리고 해외 사례와의 비교를 통해 그 의미를 심층 분석해 보겠습니다.

 

1. 추경안(추가경정예산)이란?

추가경정예산(추경)이란 정부가 당초 편성한 본예산을 수정하여 추가로 예산을 편성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경기 침체, 재난 대응, 긴급한 경제 지원 등이 필요할 때 편성됩니다. 이번 민주당의 35조원 규모 추경안은 공식적인 정부 예산안이 아니라 야당이 제안한 형태이며, 본격적인 논의를 거쳐야 실행될 수 있습니다.

 

2. 더불어민주당의 35조원 추경안 주요 내용:

이번 추경안의 주요 골자는 소비 진작과 경제 성장 촉진으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2-1) 소비 진작을 위한 지원책 (총 24조원):

a. 전국민 25만원 소비쿠폰 지급 (13조원):

모든 국민에게 1인당 25만원을 지역화폐 형태로 지급하며, 기초수급자 및 차상위 계층, 한부모가족에는 추가 10만원을 지원.

 

b. 상생소비 캐시백 (2조4000억원):

개인 카드 지출액이 전년 대비 3% 이상 증가하면 초과 소비액의 10%를 환급.

 

c. 8대 분야 소비 바우처 (5000억원):

숙박, 관광, 공연, 영화, 전시, 체육, 외식, 농수산물 등의 소비를 촉진하기 위한 할인쿠폰 제공.

 

d. 지역화폐 할인 지원 (2조원):

지방정부가 발행하는 지역화폐의 할인을 지원하여 지역 경제 활성화.

 

e. 소상공인 손실보상 및 지원 (2조8000억원):

소상공인과 자영업자의 손실 보전 및 에너지 요금, 배달비 지원.

 

2-2) 경제 성장 촉진을 위한 투자 (총 11조원):

a. AI·반도체 연구개발(R&D) 지원 (5조원):

미래 산업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연구개발 투자.

 

b. 공공주택 및 사회간접자본(SOC) 투자 (1조1000억원):

공공주택 공급 및 인프라 확충.

 

c. 청년 일자리 및 창업 지원 (5000억원):

청년층의 고용 창출 및 창업 활성화.

 

d. 신재생에너지 및 기후위기 대응 (1조8000억원):

전력망 확충, 재생에너지(RE100) 대응, 전기차 지원, 그린리모델링 등 환경 관련 투자.

 

e. 교육 및 지방재정 보강 (3조8000억원):

고교 무상교육, 5세 무상보육 지원 및 지방재정 확충.

 

3. 추경안 실행 시 기대되는 장점:

a. 경기 부양 효과:

소비쿠폰과 캐시백 정책이 직접적인 소비 촉진 효과를 불러올 것으로 기대됩니다.

 

b. 지역 경제 활성화:

지역화폐를 통한 지원으로 소상공인과 자영업자의 매출 증대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c. 미래 성장 산업 투자:

반도체 및 AI 연구개발 지원은 장기적인 국가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d. 고용 창출:

청년 일자리 및 창업 지원으로 실업률을 낮추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4. 추경안 실행 시 우려되는 단점:

a 재정 건전성 악화:

35조원의 대규모 예산이 추가되면 국가 부채 증가와 재정 부담이 커질 수 있습니다.

 

b. 물가 상승 가능성:

대규모 소비 진작 정책이 물가 상승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c. 일시적 효과에 그칠 우려:

소비쿠폰과 캐시백 정책이 일회성 소비 증가에만 그치고 장기적인 경제 성장은 보장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d. 형평성 논란:

전국민 지급 방식이 꼭 필요한 계층보다 비교적 여유 있는 계층에도 지원이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형평성 논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5. 해외의 유사 사례:

세계적으로 경제 위기 대응을 위해 추경안을 활용하는 사례가 많습니다. 대표적인 예는 다음과 같습니다.

a. 미국 - 코로나 경기부양책 (CARES Act, 2020)

미국 정부는 코로나19 팬데믹 당시 경기 부양을 위해 2조 달러(약 2600조원) 규모의 예산을 편성하였습니다. 성인 1인당 1200달러(약 150만원)의 현금을 지급하는 한편, 실업급여 확대 및 중소기업 지원을 강화하는 조치를 포함했습니다.

 

b. 일본 - 소비 진작을 위한 ‘고투(GO TO) 캠페인’ (2020-2021)

일본 정부는 여행업, 외식업 지원을 위해 여행 경비 및 외식비 지원을 제공하는 ‘Go To Travel’, ‘Go To Eat’ 캠페인을 시행하였습니다. 하지만 감염 확산과 함께 중단되면서 실효성 논란이 발생하기도 했습니다.

 

c. 독일 - 부가세 감면 및 경기 부양책 (2020)

독일은 코로나19 대응을 위해 부가가치세를 한시적으로 감면하고, 아동수당을 추가 지급하는 방식으로 경기 부양을 시도했습니다.

 

35조원 규모의 이번 슈퍼 추경안은 경기 부양과 미래 성장 산업 투자라는 두 가지 목표를 담고 있습니다. 그러나 재정 건전성 악화, 물가 상승 가능성 등 부작용도 우려됩니다. 해외 사례에서 보듯이, 경기 부양책은 일시적 효과에 그칠 가능성이 있으므로, 보다 체계적인 집행과 모니터링이 필수적입니다. 앞으로 정부와 국회의 논의를 통해 최적의 방안이 도출되기를 기대합니다.

 

이렇게 35조원 규모의 슈퍼 추가경정예산안: 의미와 영향 분석에 관하여 알아봤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